Q.1 임신 중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유산 또는 태아사망 가능성이 높아집니까?
임신 중에는 일정 빈도로 유산이나 태아사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들에 의하면 임신 중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이 유산이나 태아사망을 증가시킬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Q2. 임신 1기(임신 14주이전)에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선천적 기형 발생 가능성이 증가합니까?
모든 임신에서 여성은 선천적 기형이 있는 아기를 가질 확률은 3~5% 입니다. 이를 기본 위험률이라고 합니다.
현재까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선천성기형발생 증가와 관련된다는 보고는 없습니다.
현재까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선천성기형발생 증가와 관련된다는 보고는 없습니다.
하지만, 임신 1기에는 고열이 발생하면 신경관결손증 같은 선천성 기형이 증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경우라도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포함하여 다른 질병으로도 고열이 발생하는 경우 열을 낮추기 위해 타이레놀같은 해열제를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어떤 경우라도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포함하여 다른 질병으로도 고열이 발생하는 경우 열을 낮추기 위해 타이레놀같은 해열제를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Q3. 임신 2기(임신 14주에 시작) 이후에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임신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까?
현재까지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임신에 대한 정보는 제한되어 있습니다.
독감, 심한 급성 호흡기질환(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과 같은 다른 호흡기 질환에 대한 경험에 의하면, 임신부는 호흡기질환이 있는 경우 합병증의 위험이 더 높을 수 있으므로 증상의 신속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질병으로 인해 심각한 증상이나 합병증이 있으면 임신부가 예상보다 빨리 아기를 분만해야 하여 조산이나 저체중아를 출산할 수 있습니다.
조기분만 (37주 전)이나 저체중아 출산은 아기의 장기적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독감, 심한 급성 호흡기질환(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과 같은 다른 호흡기 질환에 대한 경험에 의하면, 임신부는 호흡기질환이 있는 경우 합병증의 위험이 더 높을 수 있으므로 증상의 신속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질병으로 인해 심각한 증상이나 합병증이 있으면 임신부가 예상보다 빨리 아기를 분만해야 하여 조산이나 저체중아를 출산할 수 있습니다.
조기분만 (37주 전)이나 저체중아 출산은 아기의 장기적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겨주세요